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ADHD 치료 새학기 바라보기
    알쏭한 육아 2014. 5. 15. 21:00



     

     

    초등학생들의 새학기이 반절이 벌써 넘어가고 있습니다. 

    자녀를 둔 부모님들은 지난 반학기를 어떻게 생각하실런지 모르겠네요.

    길지 않은 시간이지만 많은 좋은 일 나쁜 일들이 지나갔으리라 생각합니다. 

     

    특히나 자녀를 처음 학교에 보낸 부모님들께서는 자신의 아이가 

    어떻게 학교에 적응하고 있는지, 학업에 대한 성취도는 어떤지 

    친구관계는 잘 맺고 있는지에 대해 걱정 어린 관심이 많으실텐데요. 

     

    자녀의 사회성과 관련한 문제로 가장 걱정되는 것은 아마도 

    ADHD에 관련한 문제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보통 이런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약물을 통한 치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약물치료는 많은 부작용을 가지고 있고 

    그러한 물치료는 일시적인 치료에 불과하다는 의견들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밸런스브레인은 약물치료를 지양하고 운동을 통한 개선을 위해

    아이들과 소통하며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일시적인 치료보다는 근본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춰

    아이들이 밝아질 수 있는 모습을 기대하며 운영을 하려합니다.

     

     

     


     

     

    ADHD 치료와 관련하여 그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신경화학적 원인, 유전적 원인, 환경적 원인,

    해부학적 요인이 꼽히고 있습니다.

     

    ADHD 치료와 관련하여 그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뇌의 불균형 문제입니다. 

    이로 인한 증상들, 쉽게 불안해하고 초조해 한다든지 학습 또는 

    집중력이 저하된다든지 혹은 과잉행동이나 사회성이 부족한 행동을 보이는 

    문제들이 발견 될 경우에 부모는 ADHD 치료에 관해 생각해 볼 여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뇌의 불균형을 잡아주어야 하는데요. 

    뇌의 불균형은 MRI, CT등으로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체계적인 설문 또는

    인지검사 등을 통하여 파악하고 바로잡아야 합니다.

     

    이러한 검사 능력과 체계에 관한 문제에 있어 학부모님들은 고민이 많으신데요.

    밸런스브레인은 다수의 전국지부를 통하여 고민하고 계시는 분들께서

    보다 쉽게 접근하여 체계적인 검사를 실행할 수 있도록

    그 시스템을 확립함은 물론 계속 발전 해나가고 있습니다.

     

     

     


     

    새학기의 반이 지나간 지금, 부모님들은 집에서는 파악하지 못하는 아이의 

    사회적 관계, 행동 등을 교류하고 상의하며 해당 문제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가 있는데요. 

    또한 ADHD 치료를 받는 중이라고 한다면 단순히 ADHD라는 진단명을 

    교사에게 알리는 것 뿐만이 아니라 구체적인 문제행동이나 특성등에 대하여 

    논의해보는 것이 올바른 방향입니다.

     

    증상이 의심되는 아이, 치료가 필요한 아이들에게 지대한 관심을 주고 

    담임교사와 꾸준한 대화로 아이를 사랑으로 대하는 것

    그런 세상으로 ADHD를 극복하는 모두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밸런스 브레인과 상담하기

    http://balancebrain.co.kr/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