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게임중독 벗어나기 - 부산심리상담센터
    알쏭한 아이 건강 2015. 2. 16. 10:32


    스마트폰과 게임에 대해 긍정적이다. 부정적이다 하는 의견들은 분분합니다. 물론 프로게이머로 나아가 성공한 10대들도 많고 교육용 프로그램도 있고 마냥 그것들이 반드시 악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라고 하기에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분명 스마트폰중독, 게임중독으로 인하여 ADHD가 나타나고 학업에 방해를 준다는 점은 부모로 하여금 스마트폰중독에 대해 경각심을 가질 수 밖에 없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어떤 자세들로 임해야 할까요? 

    부산심리상담센터 밸런스브레인과 함께 그 문제에 대해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스마트폰과 게임중독은 청소년 뿐만 아니라 어른과 어린이에게 까지

    전반에 걸쳐있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도박처럼 그 중독성과 충동을

    조절하기 어려운 성질을 띄고 있어 그 중독성에서

    벗어나기란 상당히 어렵게 됩니다.


    '충동조절장애증후군'이라 불리우는 이러한 증상은

    자신이 품게 된 충동이라는 급작스러운 감정을 

    잘 처리하지 못하여 그것을 반드시 해결해야만

    그 응어리가 해결이 되는 상황을 일컫습니다.



    아이와 당신의 일상을 방해한다



    게임중독이 초래하는 가장 큰 문제점은 일상생활을 방해한다는 것입니다.

    아동과 청소년이 각자의 나이에 필요한 학업은 물론

    운동 및 영양소 등을 기피하면서 까지 게임에 몰두를 하게되면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러한 게임중독에 이르는 나이대는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이제 그 나이는 평군 4.8세가 되었습니다.

    가장 심하게 증상을 나타내는 시기는 청소년기이긴 하지만

    어릴적부터 스마트폰 등을 너무 아이에게 노출시키면

    자라서 게임중독에 속하게 될 가능성은 물론 높아지게 됩니다.


    과도한 게임과 스마트폰의 사용등은 특히나 일방적인 뇌의 자극을 주어

    뇌불균형을 초래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뇌불균형은

    ADHD와 틱장애등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를 요할 필요가 있습니다.



    게임중독 벗어나는 방법은?



    #1. 단순히 통제하고 방 안에 가두고 공부를 시킨다보다는

    아이가 그래도 조금 더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을만한

    같이 교외로 나간다든지 하는 방법으로 아이의 주의를 돌리는 것이 좋습니다.


    #2. 그리고 기본적으로 시간을 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A 시간부터 B 시간까지는 네가 게임을 하고

    C 시간부터 D시간까지는 네가 공부를 하자 라는 식으로 배정합니다.

    물론 주말의 경우 아이가 조금 더 놀 수 있도록 게임에 조금 더 

    많은 시간을 배정할 수는 있겠습니다.

    너무 통제를 하는 것보다 그것이 더 좋은 방법입니다.



    부산심리상담센터 밸런스브레인은?



    뇌에 악영향을 미치는 스마트폰을 지양하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뇌불균형으로 인해 나타난 발달장애, ADHD, 틱 등을 가진 아이들을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통하여 증상개선을 하고 있는 센터입니다.







    각 배너를 클릭하시면 관련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